OSI 7계층
OSI: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, 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을 위한 참조 모델
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각 계층으로 세분화한 것이다. 각 계층마다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문제 상황이 생겼을 때, 어떤 계층에 문제가 생겼는지 파악하기 쉽고 해당 계층만 해결하면 되므로 다른 계층을 손댈 필요가 없다.
1계층 물리계층 (Physical Layer)
- 전기적, 기계적인 신호를 주고받는 역할을 한다.
- 데이터의 종류나 오류를 제어하지 않는다. -> 어떤 데이터인지,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에 상관없이 전달한다.
- 통신 케이블, 허브, 리피터 등
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(Data Link Layer)
- 물리계층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의 흐름과 오류를 제어한다. 안전한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.
- MAC주소를 사용하여 통신한다. (MAC주소는 네트워크 카드가 만들어질 때 생성됨)
- 전송단위는 프레임이다.
- 스위치, 브릿지 등
3계층 네트워크 계층 (Network Layer)
- 여러 개의 노드를 거칠 때마다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한다. -> 라우팅
- 전송단위는 패킷이다.
- 라우터, L3 스위치, IP 공유기 등
4계층 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
- 양 끝단의 사용자들이 신뢰성 있는 데이터들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해 준다.
- 오류검출 및 복구와 흐름제어, 중복검사 등을 수행한다.
- TCP, UDP 등
5계층 세션 계층 (Session Layer)
- 양 끝단의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.
- 세션 설정, 유지, 종료, 전송 중단 시 복구 등의 기능이 있다
6계층 표현 계층 (Presentation Layer)
- 인코딩, 암호화, 압축 등을 통해 데이터를 번역하여 알맞은 형식으로 보여준다.
7계층 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
-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단계를 말한다.
'CS Study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 동작 방식 (0) | 2022.04.19 |
---|---|
쿠키, 세션, 캐시 (0) | 2022.04.15 |
CORS란 + 스프링부트에서 CORS 에러 해결하기 (0) | 2022.04.06 |
HTTP와 HTTPS의 차이 (0) | 2022.03.23 |
HTTP 메소드 (0) | 2022.03.14 |